호텔ㆍ리조트 지어 고용 늘리고
안전대진단 통해 엔지니어 뽑고
규제 완화 통해 기업수요 발굴
청년·여성 일자리의 양과 질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건설·안전이 해답으로 떠오르고 있다.
신규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일자리는 물론 준공 이후 시설물의 성격에 맞는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고 수요가 늘고 있는 안전투자를 통해선 안전관리자·엔지니어링 인력 등의 채용을 확대할 수 있어서다.
정부는 27일 경기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업 토론회를 열고 '청년·여성 취업연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기업 수요를 발굴해 청년·여성의 취업으로 연계하는 일자리 창출 전략을 제시했다.
규제 완화와 투자 확대를 통해 신산업과 서비스산업의 일자리를 만드는 게 핵심인데 건설·안전과 직·간접적인 연관을 맺고 있다.
가령 관광분야의 경우 정부는 관광호텔 건립 규제를 기존 학교 출입문 밖 200m에서 5년 간 한시적으로 75m로 완화한 데 이어 오는 2019년까지 복합리조트 3곳을 조성 중이다.
관광호텔 건립 규제 완화와 복합리조트 건설을 통해 500명 이상의 호텔리어와 카지노 딜러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까지 6곳이 개발되는 거점 마리나 항만과 내년까지 구축되는 소규모 전력거래시장으로는 각각 50명과 70명가량의 마리나 서비스 인력과 전력거래중개사 채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 안전대진단과 연계해 창출되는 청년·여성 일자리도 적지 않다.
정부는 안전투자를 대폭 늘려 나가기로 하고 도로·철도 등 주요 노후 시설물의 진단 점검, 보수·보강 등을 통해 안전수요를 확대할 계획이다.
실제 올해 주요 시설물의 보수·보강에 투입되는 정부 예산은 4조2000억원, 에너지·시설·교통·항만 등과 관련한 공기업의 안전투자는 무려 11조원에 달한다.
정부는 안전대진단으로 안전관리자와 엔지니어링 일자리 100개 안팎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민 활용도가 높은 공간정보 개방 확대와 관련해서도 많은 공간정보 전문인력의 창업과 취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이들 분야와 관련해 올해 60여차례의 채용행사를 열고 실제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은 청년·여성 일자리 정책의 성과를 구체적으로 체감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서 "정부는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을 통해 일자리를 발굴하고 실제 취업까지 연결하는 '일자리 중개인'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남기자 knp@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16.04.27-
'(주)유진엠앤에이 > 매일건설인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기계임대차 계약 분기별 실태조사 (0) | 2016.05.03 |
---|---|
하도급 파업… 원전건설 초유의 중단 “올 것이 왔다” (0) | 2016.05.02 |
올 들어 주택 인허가↑ 미분양 ↓ (0) | 2016.04.27 |
하자도 갑질… 무조건 전문건설에 덤터기 (0) | 2016.04.26 |
건설업, 50명 미만 사업장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의무대상 제외 (0) | 2016.04.25 |